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final 실전 모의고사 1회를 풀고 개념 정리한 내용입니다.
- 데이터 마트(data mart)
: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써 특정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 전체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있는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사용자 대상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 급증하는 다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정보화하고 이를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 다양한 원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제되어 추출된 데이터만을 저장, 필요한 인덱스 생성
-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 IoT 장치, 텔레메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로, 브로커를 사용한 publish/subscribe 방식의 라이트 메시징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 저전력 센서, 스위치, 밸브에 표준적 인터넷 환경 제공
- 프로토콜 리소스 점유 최소화, 한정된 자원 시스템 지원, topic 기반 MQ 매커니즘 수용, 오버헤드 최소화
- update 와 insert
- DML 수정 : update 테이블 set 속성명=‘값’ where 조건;
- DML 삽입 : insert into 테이블(속성명,,) values (‘값’,,);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충돌탐지)
: IEEE802.3 유선 LAN의 반이중방식(half duplex)에서 각 단말이 신호 전송 전에 현재 채널이 사용 중인지 체크하여 전송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방식
-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반송파 감지 다중접속/충돌회피)
: 무선 LAN의 반이중방식에서, 사전에 가능한 충돌을 회피하는 무선전송 다원접속 방식
- 스팸 차단 솔루션(anti-spam solution)
: 메일 서버 앞단에 위치하여 프록시(proxy) 메일 서버로 동작, 메일 바이러스 검사, 내부->외부 본문 검색 시능 통한 내부 정보 유출 방지
+) 스팸(spam) : 이메일이나 휴대폰 등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본인이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를 의미
-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 각종 재해, 장애, 재난으로부터 위기관리를 기반으로 재해복구, 업무복구 및 재개, 비상계획 등을 통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체계
-BIA(business impact analysis)
: 장애나 재해로 운영상의 주요 손실을 볼 것을 가정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영향도 및 손실 평가를 조사하는 BCP를 구축하기 위한 비즈니스 영향 분석
-RTO(recovery time objective)
: 업무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가동될 때까지의 시간, 재해 시 복구 목표 시간의 선정
-RPO(recovery point objective)
: 업무중단 시점부터 데이터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 가동될 때 데이터의 손실 허용 지점, 재해 시 복구 목표 지점의 선정
-DRP(disaster recovery plan)
: 재난으로 장기간에 걸쳐 시설의 운영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한 재난 복구 계획
-DRS(disaster recovery system)
: 재해복구계획의 원활한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확보하여 두는 인적, 물적 자원 및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통합된 재해복구센터
- 라우팅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법칙
- 거리 벡터 알고리즘(distance vector algorithm)
: 인접 라우터와 정보를 공유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결정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
-벨만-포드(bellman-ford)알고리즘 사용
-라우터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보내라고 요청하지만 수신된 경로 비용 정보는 이웃 라우터에게만 보내짐
- 링크 상태 알고리즘(link state algorithm)
: 링크 상태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전달하여 최단 경로 트리를 구성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사용
-네트워크를 일관성 있게 파악가능
-트래픽을 광범위한 범위까지 전달, 계산 복잡
-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
: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요소 중 소비자와 유통업자 사이에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 디지털 저작권 라이선싱을 중개하고 라이선스 발급을 수행하는 정산소
+)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구성요소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콘텐츠 분배자(contents distributor)
: 쇼핑몰 등으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제공
-패키저(packager)
: 콘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단위로 묶는 기능
-보안 컨테이너(security container)
: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DRM 컨트롤러(DRM controller)
: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
: 디지털 라이선싱 중계 및 발급을 수행하는 정산소
- 절차형 SQL
-프로시저(procedure)
: 일련의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
-사용자 정의함수(user-defined function)
: 일련의 SQL 처리를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단일 값으로 반환
-트리거(trigger)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
- 객체지향 설계 원칙(SOLID; 앞글자)
-단일 책임의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목적을 위해서 생성되며 클래스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하나의 책임을 수행하는 데 집중되어 있어야한다는 원칙(나머지 4원칙의 기본 원칙)
-개방 폐쇄 원칙(open close princlple)
: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컴포넌트, 클래스, 모듈, 함수)는 확장에는 열려있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한다는 원칙
-리스코프 치환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서브타입(상속받은 하위클래스)은 어디서나 자신의 기반타입(상위클래스)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한다는 원칙
-인테페이스 분리의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한 클래스는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구현하지 말아야한다는 원칙, 클라이언트가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때문에 영향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원칙
-의존성 역전의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실제 사용관계는 바뀌지 않으며 추상을 매개로 메세지를 주고받음으로써 관계를 최대한 느슨하게 만드는 원칙
- 방향그래프(directed graph)
: 정점을 연결하는 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로 n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는 n(n-1)
- git
: 리누스 토발즈가 2005년 리눅스 커널의 개발을 위해 만든 시스템으로 중앙 집중형 방식이 아닌 분산형 방식으로 각 PC 스스로 완전한 저장소가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중앙 집중형 방식으로도 운영할 수 있는 형상 관리시스템
-주요 기능 : 로컬 환경에서의 형상관리 기능(branch, check-out, commit), 원격 환경에서의 변경 전송 기능(push, fetch, pull), SVN 저장소에 대한 이관(migration)가능
-장점 : 저장소(repository)의 완전한 복사본을 로컬에 저장 가능, 로컬 저장을 통해 오프라인 작업 가능, 일시적인 작업에 대한 이력관리가 쉬움
-단점 : 대용량 코드 관리에 부적절, 한번에 diff 명령어를 통한 변경사항을 보기가 어려움, CVS, SVN과 개념이 상이하여 학습시간이 요구
- 지역성 유형
-시간(temporal)지역성
: 최근 사용되었던 기억장소들이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 참조했던 메모리는 빠른 시간에 다시 참조될 확률이 높은 특성
예) loop, 스택(stack), 부프로그램(sub routine), counting(1씩 증감), 집계(totaling)에 사용되는 변수
-공간(spatial)지역성
: 프로세스 실행 시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 참조된 메모리 근처의 메모리를 참조하는 특성
예) 배열 순회, 같은 영역에 있는 변수 참조
-순차(sequential)지역성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액세스되는 현상, 프로그램 내의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구성된 특성, 공간 지역성에 편입되기도 함
예) 순차적 코드 실행
2022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FINAL 실전 모의고사 - 교보문고
ㆍ 본서는 [문제 편]과 [해설 편]으로 분권하여 볼 수 있도록 편집/제작하였습니다. ㆍ 본서는 수제비 실전시험과 같은 환경에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선견지명 모의고사(35회)와 백전백승 기출문
www.kyobobook.co.kr
https://cafe.naver.com/soojebi
수제비- IT 커뮤니티 (정보처리기사... : 네이버 카페
수제비-수험생 입장에서 제대로 쓴 비법서(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능사, 빅데이터 분석기사 등 시리즈)
cafe.naver.com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애플리케이션 공격 총정리 (0) | 2022.10.13 |
---|---|
[정처기]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DRoS 공격/TCP 세션하이재킹 총정리 (0) | 2022.10.13 |
[정처기]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DDoS 공격 총정리 (0) | 2022.10.13 |
[정처기]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DoS 공격 총정리 (0) | 2022.10.13 |
[정처기] D-11 오답 정리 (0)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