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비전공자 합격 후기(동차 합격/ 필기 3일·실기 2주 공부/ 강의 X)
응시 이유
일단 먼저,, 나는 비전공자이지만 2020년에 2개월 정도 java를 공부한 경험이 있고, 2021년 12월부터는 python으로 프로젝트 및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었다. 또한, SQLD 자격증도 보유중이어서 어느정도 SQL을 다룰 수 있는 상태였다.
첫 번째 이유는, 비전공자이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것은 아니다!를 증명할 만한 이력서에 넣을 수 있는 자격증을 따고 싶어서였고,
두 번째 이유는, CS(Computer Science) 관련 지식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시험 점수 및 결과
2022 정기 기사 3회 필기 (2022.07.21)에서 60점을,
2022 정기 기사 3회 실기 (2022.10.16)에서 66점을 받으며 턱걸이로 합격했다. 높은 점수는 아니기에 나는 운이 많이 따라줬다고 생각한다.
필기
먼저 필기시험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20문항)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이다. 나는 아래와 같은 점수로 딱 평균 60점을 맞췄다.
1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5과목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55점 | 60점 | 70점 | 55점 | 60점 |
정처기 필기를 보기 전 SQLD 자격증을 따면서 SQL 공부를 했기 때문에 3과목은 수월하게 풀었고, 또 python 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4과목도 어느정도 자신이 있었다. 다만 C언어 문법은 시험장에서 거의 처음봐서 연산자 우선순위 같은 문제는 풀지 못했다.
떨어졌다고 생각하고 푼 문제만 빠르게 검토 하고 제출완료 버튼을 클릭했는데(CBT 시험장) 딱 60점이 떠서 얼떨떨하게 웃으면서 시험장에서 두 번째로 퇴실했던 기억이 난다.
실기
실기 시험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3차 시험이 올해 마지막 실기 시험이라 이번에 떨어지면 내년 3월 혹은 4월 쯤에 재시험을 봤어야애서 다시 처음부터 공부하기가 너~무 싫어서 필기시험 때보다는 시간 투자를 해서 공부했었다.
선택과 집중으로 빈출이 아닌 과목은 시험 전날 한번 읽어보는 걸로 공부를 마쳤고,
점점 문제수가 증가하는 추세였던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그리고 매번 출제되던 10과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1과목 디자인 패턴, 7과목 SQL 응용 파트 등은 문장을 통으로 암기한다고 생각하며 공부했다.
시험장에서 확실하게 맞은 것 같은 문제들을 세어봤을 때 60점이 넘었어서 한결 편안한 마음으로 나머지 문제들을 검토하고 검토하고 검토하다가 퇴실 가능한 시간이 되자마자 미련없이 퇴실했다.
후기
필기, 실기 모두 시험 전날까지 둘다 완벽하게 모든 내용을 아는 상태로 시험장에 들어간 게 아니기 때문에 불안했지만, 떨어지면 다음에 한번에 또 응시하지 뭐~ 하는 마음으로 시험을 응시했다. 선택과 집중으로 중요 파트에 시간을 더 할애한 것 + 공부한 파트에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던 것 등 운이 많이 따라주어서 합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추후에 프로젝트 협업이나 면접 볼 때 분명히 또 필요한 개념들일텐데 다시 주기적으로 정리해서 공부해 둬야겠다.
공부 방법은 다른 게시글로 작성하였다.
[정처기] 비전공자 공부 방법(동차 합격/ 필기 3일·실기 2주 공부/ 강의 X)
정처기 합격 후기에 이어 공부 방법을 기록해두려 한다. [정처기] 비전공자 합격 후기(동차 합격/ 필기 3일·실기 2주 공부/ 강의 X) 응시 이유 일단 먼저,, 나는 비전공자이지만 2020년에 2개월 정도
univus-j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