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정처기] 비전공자 공부 방법(동차 합격/ 필기 3일·실기 2주 공부/ 강의 X)

by univus 2022. 12. 14.

 

정처기 합격 후기에 이어 공부 방법을 기록해두려 한다. 

 

[정처기] 비전공자 합격 후기(동차 합격/ 필기 3일·실기 2주 공부/ 강의 X)

응시 이유 일단 먼저,, 나는 비전공자이지만 2020년에 2개월 정도 java를 공부한 경험이 있고, 2021년 12월부터는 python으로 프로젝트 및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었다. 또한, SQLD 자격증도 보유중이어

univus-jo.tistory.com

 

2022 정기 기사 3회 필기 (2022.07.21)에서 60점을, 

2022 정기 기사 3회 실기 (2022.10.16)에서 66점을 받으며 턱걸이로 합격했다. 높은 점수는 아니기에 운이 많이 따라줬다고 생각한다. 안전하고 확실한 합격을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 투자를 하길 바란다...

 

일단 먼저,, 나는 비전공자이지만 2020년에 2개월 정도 java를 공부한 경험이 있고, 2021년 12월부터는 python으로 프로젝트 및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었다. 또한, SQLD 자격증도 보유중이어서 어느정도 SQL을 다룰 수 있는 상태였다. 

 

필기(3일)


1. 교재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필기(기출 풀고 이해안되는 부분의 개념만 읽음)

 

2. 공부 방법

교재를 구매하긴 했지만 당시에 이런 저런 이유로 시간을 많이 못냈어서 시험 3일전부터 교재를 펼쳐보았다. 3일안에 개념을 다 보고 문제를 다 풀어보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하여 기출문제만 풀어보고 시험을 응시하기로 했다.

 

https://www.comcbt.com/xe/iz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위의 사이트에서 20년부터 22년 2회차까지의 문제들로 공부하였다. (총 8회차)

 

D - 3  

4회차분 문제풀이 + 해설 읽고도 이해 안되는 개념은 교재에서 찾아서 읽기(암기X)

D - 2

4회차분 문제풀이 + 해설 읽고도 이해 안되는 개념은 교재에서 찾아서 읽기(암기X)

D - 1

틀린 문제들 문제풀이 + 또 틀린 문제는 따로 표시 후 암기

D - 0

2번 틀렸던 문제들만 다시 풀고 시험장

 

 

내가 했던 3일 동안의 공부 방법은 개념 자체에 대한 이해라기보다는 문제와 답안을 외웠던 거라 시험 직전의 나는 럼바우? 객동기! 이런 식이었다. 합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운 + SQL과 프로그래밍 문제들에서 점수를 확보하고 빈출되는 개념들을 기출 반복으로 외워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기(2주)


1. 교재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final 실전 모의고사(너무 지엽적이라 5회차까지만 풀었음)

 

2. 공부 방법

수제비 카페가 잘되어있다는 추천을 받아서 가입하고 카페 내에서 두 개의 게시판의 글을 정리해서 공부했다.   

 

수제비- IT 커뮤니티 (정보처리기사... : 네이버 카페

수제비-수험생 입장에서 제대로 쓴 비법서(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빅데이터 분석기사, ADsP 등)

cafe.naver.com

 

내가 이용한 게시판은 'Daily 문제-정처기실기' 게시판과 '약술형 뽀개기' 게시판인데, 22년 3회 대비용으로 수제비쌤과 보안쌤이 올려주신 게시글을 모조리 정리하고 암기했다. 약술형의 비중이 높아졌다고 해서 약술형은 올라온 모든 게시글을 참고해 중요 키워드를 암기하는 식으로 공부했다.

 

2주 전 ~ 1주 전(주말 포함 하루에 5-6시간 정도)

2-3일에 한과목씩을 목표로 빈출 과목 순서대로 교재 내의 개념 설명을 읽고 교재 내의 문제를 푸는 식으로 진행했다.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 과목들은 과감히 버리고 빈출과목에만 집중했다. 

final 실전 모의고사도 하루에 한 회차씩 풀었는데 안그래도 없는 지식+지엽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들로 인해 자신감이 바닥을 치기 시작해서 모의고사도 과감하게 버렸다..ㅎㅎ그리고 바로 실기 기출문제를 풀기 시작했다. (실기 기출 문제는 구글 검색해서 나오는 블로그들을 참고했다.)

1주 ~ 시험 직전(하루 10시간 정도)

빈출 과목들은 한 번씩 훑어보았지만 개념들이 머릿속에 남았다는 생각이 안들어서 빠르게 중요한 개념들만 타이핑 치면서 정리하고 암기했다. (블로그에 과목별로 나누어서 포스팅 해두었다.) 이 시기에는 교재 내 문제/기출문제/파이널 실전 모의고사를 풀지 않고 빈 종이에 개념을 떠올리고 설명하는 백지 복습만을 반복했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과목, SQL 응용 과목만 교재 내 수록된 문제들을 다시 풀었다. 또한, java 상속, C언어 포인터 등의 까다로운 문제들을 더 풀어보고 싶어서 수제비 카페 내 두음쌤의 '수제비 족보-예상문제' 게시판의 프로그래밍/DB 파트 문제를 풀어보았다. 

 

시험 하루 전에는 기출 문제를 다시 풀어볼 생각이었는데 하필 시험 전날에 카카오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해 모든 카카오 서비스가 마비되어 티스토리 접속이 안됐다..... 또 하필 내가 기출 문제를 북마크했던 블로그가 티스토리 블로그였어서 전날~시험 직전까지 다시 풀어보기 위해 체크했던 기출문제들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하루 전에는 A4 한장을 세로로 길게 접어 앞뒤로 총 4개 구역에 정말 나올 것 같은 개념들만 정리하고 암기했다.(시험장에도 이 A4 종이 한장만 들고 들어갔다.) 

 

 

 

후기


필기·실기를 준비하던 때로 다시 돌아간다면,

필기 시험 전에는 다른 과목들은 몰라도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교재 내 개념과 문제를 다 풀어보고 갔으면 더 안정적인 점수를 받았을 것 같다. 필기시험은 4지 선다형 객관식이기 때문에 1주반 정도 잡고 개정 후 기출 문제 반복+ 4과목 개념으로 공부하면 비전공자들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기 시험을 보면서는 분명히 아는 개념이고 보았던 개념들인데 갑자기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서 결국 틀렸던 문제들이 꽤 있었다. 따라서 선택과 집중을 한다면(물론 전체를 다 꼼꼼하게 공부하면 좋지만!) 중요한 과목의 개념들은 정말정말로 꼼꼼하게 개념을 암기하고 있으면 좋을 것 같다. 개념 설명을 보고 단어를 떠올리고 단어를 보고 개념 설명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그리고 개념 단어에 설명이 포함된 경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개념의 영문약자를 풀어서 암기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나는 문제를 더 많이 푸는 것보다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과목, SQL 응용 과목은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무조건 도움이 된다!) 교재 내 다른 개념들도 백지 복습으로 암기하는 방식을 더 추천한다. 실기 시험은 최소 3주정도는 잡아야 모든 과목의 개념을 적어도 한 번씩은 읽고 기출문제를 풀고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 같다. 정말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비전공자라면 무조건!!!!!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과목, SQL 응용 과목부터 시작하길 추천한다.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응시한 모든 사람들이 좋은 결과를 얻길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마친다.